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테크, 안전자산 금으로 투자하는 방법

by 딥딥퍼플 2023. 1. 26.

금은 고대부터 부의 상징이었며, 사람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고 좋아하는 원소이다. 우리 한국 문화에서도 금은 높은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흔히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의 첫 생일을 맞아하는 돌 때 가장 보편화된 선물로 돌반지 (금반지)가 있으며, 자식들이 부모님들께 또는 부모님들이 자식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할 때도 금 팔지, 금목걸이 등 순금을 선물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자산보관을 위해 현금을 보유하는 것보다, 금을 보유한다. 그 이유는, 금을 보유하는 것은 하나의 투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금 투자가 무엇인지, 투자 방법, 그리고 금 시세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금테크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금 투자는 무엇인가?
2. 금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3. 금 시세를 움직이는 요소는?

 

1. 금 투자는 무엇인가?

금은 Au의 원소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노란빛을 띄고 있는 광물 중 하나이다. 녹는점이 1,064 ºC로 아주 높아 변질 또는 손실될 위험도 매우 낮으며, 귀금속으로 많이 사용되어 남녀노소 좋아하는 광물이다.  금 투자는 말 그대로, 금이라는 광물에 투자를 하는 것으로, 금은 다른 투자 상품들과 동일하게 금 시장 내에서 투기와 변동성의 대상이 된다. 최근 경기가 불안정해지면서, 안전자산으로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최근 몇 년 동안 경기 불안 상황에서도 금가격이 지속해 상승하고 있다. 

 

2. 금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실물로 금을 구매하는 방법 또는 금 관련 상품에 투자를 하는 것이다. 실물 금 투자는 직접 금을 구매해 보유 하는 방법으로 골드바, 금화 그리고 금으로 제작된 귀금속을 구매하는 방법이 있다. 금 관련 상품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한국거래소(KRX)의 금시장을 활용하는 방법, 금 통장을 개설해 돈을 보관하는 방법 그리고 금 펀드에 가입 또는 ETF를 매수하는 방법이 있다. 

 

  • 골드바 매매: 은행 또는 한국금거래소에서 구매 가능하다. 차익에 대한 세금이 붙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입 시점에서 10%의 부가가치세가 발생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금투자 방법은 아니다. 
  • 한국금거래소(KRX): 금 거래용 증권사계좌를 개설해 금을 거래하는 방법이다. 시중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하며, KRX의 가장 큰 장점은 매매차익이 비과세 적용된다는 점이다. KRX에서 거래되는 모든 금현물투자는 한국조폐공사에서 순도 (99.99%)를 보증하며,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책임보관해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금 통장 (골드뱅킹): 금통장은 통장에 돈을 넣으면 금 시세와 달러당 원화 가치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금의 무게를 계산한 뒤 통장에 기재하는 방식이다. 현금으로 인출 할 시 원으로 환산한 금값이 오르면 그 차이만큼의 이익을 챙길 수 있는 투자 방식이다. 0.01g의 소단위로도 투자가 가능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금 펀드: 금을 자산으로 운용하는 펀드로, 현재 국내에는 12개의 금 펀드가 운용중에 있다. 금펀드는 금융상품으로 간주되어 15.4%의 과세가 적용된다. 
  • 금 ETF: 증권계좌를 가지고 있다면, HTS 또는 MTS를 통해 쉽게 금 ETF 투자가 가능하다. ETF로 금펀드 대비 낮은 수수료가 장점이지만, 국내 상장 상품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한 15.4%의 배당소득세가 발생해 투자 전 확인이 필요하다. 

 

3. 금 시세를 움직이는 요소는?

국제 금의 시세는 미국 달러화로 거래된다. 그렇기 때문에 금의 시세는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어, 미국의 실질금리, 달러 가치 그리고 수급요인에 의해 금값이 정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의 연장선으로 국내 금시세는 달러 원 환율과 국내 수급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추가로, 금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인기가 더해진다.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사람들은 가치가 하락하는 화폐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치 보존이 쉬운 금 투자를 선호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황이 불안정하거나, 국가 위기 상황에서도 금의 가치는 올라간다. 2020년 8월 코로나 사태로 국제적 공포와 위기가 최고치였을 당시, 국제 금 가치는 $2,051/트로이온스로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또한 모든 거래의 원리처럼, 수요가 공급보다 많을때 금의 가치는 올라간다. 위에 설명한 인플레이션 및 국가 위기 상황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안전자산 중 하나인 금에 투자하면 그만큼 수요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너지가 발생해 금 시세는 더욱 올라가게 된다.